비공유결합 기반 단백질-리간드 결합 친화도 예측 방법 및 장치
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공유결합 기반 단백질-리간드 결합친화도 예측 장치는, 입력된 단백질을 기반으로 m 개의 아미노산 잔기 단위의 표현형 벡터를 생성하는 단백질 인코딩 모듈, 입력된 리간드를 기반으로 n 개의 부분구조 단위의 표현형 벡터를 생성하는 리간드 인코딩 모듈, 상기 m 개의 아미노산 잔기 단위의 표현형 벡터 및 상기 n 개의 부분구조 단위의 표현형 벡터를 기반으로 단백질-리간드 결합체에 대한 단일 표현형 백터를 생성하는 단백질-리간드 결합 모듈 및 상기 단백질-리간드 결합체에 대한 단일 표현형 벡터를 기반으로 상기 단백질과 상기 리간드의 결합친화도를 예측하는 결합친화도 예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.
상세 설명
기술분야
본 발명은 비공유결합 기반 단백질-리간드 결합 친화도 예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, 보다 상세하게는 신약 개발을 위해 설명가능한 단백질-리간드 결합 친화도 예측력을 갖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비공유결합 기반의 단백질-리간드 결합 친화도 예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.
해결하려는 과제
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백질-리간드 사이의 화학적 비공유결합을 고려한 모델 설명력을 갖춘 단백질-리간드 결합친화도 예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.
발명의 효과
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, 주어진 미지의 표적 단백질에 대해 어떤 아미노산 잔기 부분이 실질적으로 리간드와 화학적 비공유결합을 형성하는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.
또한,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, 해당 미지의 표적 단백질의 결합 부위(binding pocket)을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.
또한,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, 약물 화합물인 리간드에 대해 어떤 화학적 부분구조가 표적 단백질에 대해 더 상대적으로 많은 화학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.
또한,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, 약물 화합물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알려줌으로써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