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안이 강화된 데이터 전송 방법
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, 송신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보안이 강화된 데이터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. 상기 방법은: 퀀텀 채널(quantum channel)을 통해 수신자 단말로 전송된 키 시퀀스(key sequence) 및 전송할 심볼의 개수를 이용하여, 페이크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제 1 정보 및 상기 페이크 심볼의 위치에 대한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; 복수 개의 소스 심볼(source symbol)을 부호화(encoding)하여, 오류정정부호 및 복수 개의 부호화된 심볼(encoded symbol)을 획득하는 단계;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에 기초하여, 상기 복수 개의 부호화된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의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페이크 심볼로 변경하는 단계;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크 심볼, 상기 복수 개의 부호화된 심볼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크 심볼로 변경되지 않은 나머지 심볼 및 상기 오류정정부호를 디지털 채널(digital channel)을 통해 수신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;를 포함할 수 있다.
상세 설명
기술분야
본 개시는 보안이 강화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, 구체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양자키분배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.
해결하려는 과제
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, 보안성이 높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.
발명의 효과
본 개시는 양자키분배 프로토콜을 사용하여, 암호화된 정보에 대한 도청을 방지할 수 있다. 구체적으로, 도청자는 탈취한 데이터에 대하여 무차별 대입 방식(brute-force)으로만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.
한편, Shannon 이론에 따르면 메세지 길이만큼의 일회용 암호(one-time pad)를 사용하면 완벽한 보안을 달성할 수 있다. 종래 secure FEC 기법은 FEC 부/복호화에 사용하고자 하는 정보(예를 들어, 도 2에서의 reference database)를 암호화시키기 때문에 송신자가 전송하는 메세지 길이가 길어질수록 암호화 기법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의 전송량이 증가하게 되어 보안성을 늘리는데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. 하지만, 본 개시는 erasure channel 특성을 반영한 분배된 key 이용 방식 이용하여 매우 적은 양의 random key를 전송하게 되어 보안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.
구체적으로, QKD는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양자 채널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random key를 전송하는 방식이다. 따라서, 종래 secure FEC 방식에서 숨기고자 하는 정보를 직접적으로 QKD를 통해 전송할 수 없다. 반면, 본 개시는 random key를 이용하여 secure FEC를 구성함으로써 QKD를 통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.